인권침해 문제와 강제성 흐리는 표현
한일 미래세대 역사 인식차 확대할 듯
30일 일본 정부 검정을 통과한 고교 역사 교과서 가운데는 일본군 위안부 동원 강제성이나 위안소 운영 과정에서 벌어진 인권침해 및 폭력을 명확하게 드러내지 않고 모호하게 기술한 책들이 많았다.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둘러싼 한일 갈등이 증폭하는 가운데 미래 세대의 역사 인식 차이는 갈수록 벌어질 것으로 우려된다.
다이이치가쿠슈샤는 역사 교과서 2종이 검정에 통과했는데 한반도 출신 여성을 위안부로 강제 동원한 것에 관해 “많은 여성이 위안부로 전지에 보내졌다“, “여성이 위안부로 전지에 보내졌다“고 각각 기술했다.
일본 정부가 발표한 1993년 8월 ‘고노담화‘는 “위안소는 당시의 군 당국의 요청에 따라 마련된 것이며 위안소의 설치, 관리 및 위안부의 이송에 관해서는 옛 일본군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이에 관여했다“는 점을 명시하고 모집에 “관헌 등이 직접 이에 가담한 적도 있었다“고 군과 정부 당국의 책임을 인정했다.
이에 비춰보면 다이이치가쿠슈샤의 교과서는 피해자를 동원한 주체가 누구인지를 명확하게 하지 않아 누구에게 책임이 있는지를 이해하기 어렵게 한 셈이다.
일본군 위안부 동원의 강제성이나 피해자가 겪은 인권 침해 및 고통 등 사안의 심각성도 잘 드러내지 못했다.
역시 이번에 검정을 통과한 야마카와 출판사 역사총합(종합) 교과서의 기술 내용과 비교해보면 차이가 극명하다. 야마카와의 교과서는 “각지의 전장에서는 위안소가 설치돼 일본이나, 조선, 대만, 점령지의 여성이 위안부로 모집됐다. 강제되거나 속아서 연행된 예도 있다“고 기술했다. 하지만 야마카와처럼 일본군 위안부 동원의 문제점을 잘 지적한 교과서는 많지 않았다.
도쿄서적의 역사총합 교과서는 “전시하에서는 위안소가 각지에 설치돼 많은 여성의 인권이 짓밟혔다“, “일본인이나 일본의 식민지 지배하, 일본의 점령하에 있던 많은 사람이 위안부로서 종군하도록 (시킴을) 당했다“고 기술했다.
미묘한 표현에서 피해자들이 자발적으로 위안부가 된 것이 아니라는 점을 짐작할 가능성도 있으나 엄밀하게 말하면 강요당했다는 역사적 사실을 흐리는 표현이다. 또 종군이라는 표현은 자발적으로 군을 따라간 것이라는 오해를 유발할 가능성도 있다.
짓쿄 출판의 역사 교과서는 2종인데 그중 하나는 위안부 문제를 2차대전 말기에 벌어진 오키나와전투를 기술하는 부분에서 한정적으로 다뤘다. 이 교과서는 “오키나와전에는 약 1〜2만의 조선인 군부가 동원됐고 130개소의 위안소에서는 적어도 160명의 조선인이 ‘위안부‘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한국 정부에 등록한 위안부 피해자만 해도 240명인 점을 고려하면 오키나와로 지역을 한정해 ‘적어도 160명‘이라는 숫자를 제시한 것은 전체 피해 규모를 보여주기에는 불충분하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짓쿄출판의 일본사A교과서는 위안부 피해자들이 전쟁 중 일본군의 성 상대를 강요당한 여성들이라고 소개하고 고노 담화의 구체적인 내용까지 싣는 등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꽤 충실하게 다뤘다. 이에 비하면 이번에 검정을 통과한 짓쿄출판 교과서의 내용은 대폭 후퇴했다.
역사 문제를 적극적으로 다뤘다가 우익세력들로부터 공격의 대상이 된 후 출판사 측이 위축된 것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이번에 검정을 통과한 메이세이샤는 위안부 문제를 다루지 않았다.
sewonlee@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