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 2·은 10·동 12개로 41위
1968년 텔아비브 대회 이후 가장 낮은 순위
세대교체·유망주 발굴 등 우선 과제 확인
한국 장애인 대표팀이 2020 도쿄 패럴림픽에서 막판 뒷심을 발휘했지만, 전체 목표 달성에는 실패했다. 메달의 색, 성적, 순위로 모든 것을 평가하는 시대는 지났다지만, 실제 경기를 치르는 장애인 선수들의 승리욕과 목표 의식은 매우 강하다.
패럴림픽 무대에 선다는 것만으로 성취감을 느끼는 선수가 있는가 하면 기대 이하의 성적에 실망하는 선수들도 많다. 비장애인 선수들이 출전하는 올림픽 못지않게 치열하고, 모든 걸 쏟아부으며 경쟁하는 무대다. 그런 의미에서 ‘스포츠의 관점’으로 이번 패럴림픽을 돌아볼 필요가 있다.
◇ 종합순위 41위로 마무리…목표 달성은 못해
한국 선수단의 도쿄 패럴림픽 목표는 금메달 4개, 은메달 9개, 동메달 21개로 종합순위 20위였다. 하지만 대회 폐막일인 5일 한국은 금메달 2개, 은메달 10개, 동메달 12개로 41위에 자리했다. 4일(현지시간) 보치아 대표팀이 패럴림픽 9회 연속 금메달을 획득하고 마지막 날 배드민턴의 김정준(43·울산중구청)이 단식과 복식에서 각각 은메달 두 개로 힘을 보탰으나 기대하던 성적표는 받아들지 못했다
1968년 처음 출전한 텔아비브(이스라엘)대회 이후 53년 만에 가장 낮은 순위다. 역대 최고 성적은 1988 서울 대회(금메달 40개·은메달 35개·동메달 19개)의 종합 7위다. 2008년 베이징 대회 13위(금메달 10개·은메달 8개·동메달 13개), 2012년 런던 대회 12위(금메달 9개·은메달 9개·동메달 9개), 2016년 리우 대회 20위(금메달 7개·은메달 11개·동메달 17개)와 비교하면 또렷한 하락세다.
한국은 가장 많은 메달이 걸린 기초종목 수영, 육상에서 단 한 개의 메달도 따지 못했다. ‘리우 3관왕’인 수영 조기성(26·부산시장애인체육회)이 무관에 그쳤고, 육상의 전민재(44·전북장애인체육회)도 세월의 흐름을 막을 수 없었다. 양궁 대표팀은 텔아비브 대회 이후 53년 만에 노메달을 기록했다.
종합 1위를 확정한 중국(금메달 96개·은메달 60개·동메달 51개)과 11위 개최국 일본(금메달 13개·은메달 15개·동메달 23개)과 큰 차이가 난다. 금메달 5개씩을 딴 인도, 태국 등이 한국보다 한참 위에 자리했다.
주원홍 선수단장은 4일 일본 도쿄 베이사이드 호텔 아주르 다케시바 내 코리아하우스에서 열린 도쿄 패럴림픽 공동취재단과의 기자간담회에서 “늘 듣던 이야기가 저변 확대와 신인 발굴이다. 그런데 실제로 어떻게 해야 하는지 대해선 크게 와 닿는 정책이 없었던 것 같다”며 “이번 패럴림픽을 계기로 돌아가서 제대로 된 방향을 정해야 할 것이다”고 했다.
그래도 총 메달 개수로 매긴 순위가 15위(24개)인 점은 위안거리다. 또 탁구는 이번 대회에서 금메달 1개, 은메달 6개, 동메달 6개를 따내며 ‘효자 종목’ 노릇을 톡톡히 했다. 주영대(48·경남장애인체육회)는 남자 개인 단식(스포츠등급 TT1)에서 첫 금메달로 선수단의 대회 첫 금메달을 따냈다. 김현욱(26·울산장애인체육회)과 남기원(55·광주시청)이 같은 종목에서 각각 은·동메달을 목에 걸며 태극기 세 개를 휘날렸다.
패럴림픽 무대에 선다는 것만으로 성취감을 느끼는 선수가 있는가 하면 기대 이하의 성적에 실망하는 선수들도 많다. 비장애인 선수들이 출전하는 올림픽 못지않게 치열하고, 모든 걸 쏟아부으며 경쟁하는 무대다. 그런 의미에서 ‘스포츠의 관점’으로 이번 패럴림픽을 돌아볼 필요가 있다.
◇ 종합순위 41위로 마무리…목표 달성은 못해
한국 선수단의 도쿄 패럴림픽 목표는 금메달 4개, 은메달 9개, 동메달 21개로 종합순위 20위였다. 하지만 대회 폐막일인 5일 한국은 금메달 2개, 은메달 10개, 동메달 12개로 41위에 자리했다. 4일(현지시간) 보치아 대표팀이 패럴림픽 9회 연속 금메달을 획득하고 마지막 날 배드민턴의 김정준(43·울산중구청)이 단식과 복식에서 각각 은메달 두 개로 힘을 보탰으나 기대하던 성적표는 받아들지 못했다
1968년 처음 출전한 텔아비브(이스라엘)대회 이후 53년 만에 가장 낮은 순위다. 역대 최고 성적은 1988 서울 대회(금메달 40개·은메달 35개·동메달 19개)의 종합 7위다. 2008년 베이징 대회 13위(금메달 10개·은메달 8개·동메달 13개), 2012년 런던 대회 12위(금메달 9개·은메달 9개·동메달 9개), 2016년 리우 대회 20위(금메달 7개·은메달 11개·동메달 17개)와 비교하면 또렷한 하락세다.
한국은 가장 많은 메달이 걸린 기초종목 수영, 육상에서 단 한 개의 메달도 따지 못했다. ‘리우 3관왕’인 수영 조기성(26·부산시장애인체육회)이 무관에 그쳤고, 육상의 전민재(44·전북장애인체육회)도 세월의 흐름을 막을 수 없었다. 양궁 대표팀은 텔아비브 대회 이후 53년 만에 노메달을 기록했다.
종합 1위를 확정한 중국(금메달 96개·은메달 60개·동메달 51개)과 11위 개최국 일본(금메달 13개·은메달 15개·동메달 23개)과 큰 차이가 난다. 금메달 5개씩을 딴 인도, 태국 등이 한국보다 한참 위에 자리했다.
주원홍 선수단장은 4일 일본 도쿄 베이사이드 호텔 아주르 다케시바 내 코리아하우스에서 열린 도쿄 패럴림픽 공동취재단과의 기자간담회에서 “늘 듣던 이야기가 저변 확대와 신인 발굴이다. 그런데 실제로 어떻게 해야 하는지 대해선 크게 와 닿는 정책이 없었던 것 같다”며 “이번 패럴림픽을 계기로 돌아가서 제대로 된 방향을 정해야 할 것이다”고 했다.
그래도 총 메달 개수로 매긴 순위가 15위(24개)인 점은 위안거리다. 또 탁구는 이번 대회에서 금메달 1개, 은메달 6개, 동메달 6개를 따내며 ‘효자 종목’ 노릇을 톡톡히 했다. 주영대(48·경남장애인체육회)는 남자 개인 단식(스포츠등급 TT1)에서 첫 금메달로 선수단의 대회 첫 금메달을 따냈다. 김현욱(26·울산장애인체육회)과 남기원(55·광주시청)이 같은 종목에서 각각 은·동메달을 목에 걸며 태극기 세 개를 휘날렸다.
◇ ‘평균연령 40대’ 고령화된 선수단…세대교체 필요성 절감
이번 대회에 출전한 한국 선수 85명의 평균 나이는 40.5세. 도쿄 패럴림픽에 선수를 15명 넘게 보낸 국가 중 평균 연령이 가장 많다. 개최국 일본은 평균 33.2세, 중국은 29.7세다. 유망주 발굴이 쉽지 않은 환경이기에 자연스레 세대교체가 더디다. 양궁 대표팀의 여자 선수 4명은 모두 50〜60대로 구성됐다.
이현옥 대한민국 선수단 총감독은 “고령화와 세대교체는 매번 패럴림픽에서 많이 받는 질문이다. 리우 대회 이후 많은 예산을 투입했지만, 하향평준화가 되지 않았나 생각한다”며 “엘리트 선수에 대한 집중과 가능성 있는 선수는 차별화는 특별훈련이 필요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오완석 선수단 부단장은 “어릴 때부터 장애인이 비장애인과 같은 학교에서 함께 공부하는 일이 늘어나는 건 매우 바람직한 일”이라면서도 “문제는 체육 시간이다. 장애인 체육 전문 인력이 있는 학교가 거의 없다 보니 장애가 있는 학생들이 체육 시간에 소외되고 있다. 그렇다 보니 갈수록 유망주 발굴에 어려움을 겪는다. 장애인체육 전문 인력 양성 없이는 진정한 통합교육은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탁구에서 금메달을 목에 건 주영대도 40대 후반이다. 그는 “탁구 종목도 연령대가 높은 편이다. 젊은 후배들이 나오고 올라오면 탁구 종목은 앞으로도 좋아질 것이다”고 기대했다.
부진의 원인을 단순히 ‘나이’와 ‘얕은 선수층’으로만 설명할 수는 없다. 전문성 있는 인력 보강을 통한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일부 종목에서는 선수단이 경기 일정과 규정을 몰라 손해를 보거나, 볼 뻔한 등 허술한 운영도 여러 차례 나왔다.
◇ ‘젊은 피’들 반짝…윤지유·김민수·주정훈 등 가능성 확인
이번 패럴림픽에서 한국 장애인 체육의 ‘미래’를 이끌 일부 차세대 주자들을 발굴한 건 수확이다. 올림픽에서도 신유빈(17·탁구), 여서정(19·체조), 안산(20), 김제덕(19·이상 양궁), 황선우(18·수영) 등 ‘MZ 세대’가 주목받았듯 패럴림픽에도 ‘젊은 피’들이 나섰다. 2000년생 장애인 탁구 여자 국가대표 윤지유(21·성남시청)는 리우 대회 여자단체전(TT1-3) 동메달을 획득한 경험자다. 5년 전에 이어 올해도 한국 선수단의 막내로 출전한 그는 도쿄에서 단체전 은메달 1개, 개인전 동메달 1개를 목에 걸었다.
양궁 대표팀의 1999년생 ‘기대주’ 김민수(22·대구도시철도)는 두 번째 출전인 이번 대회도 노메달로 마쳤지만 기량은 날로 증가하고 있다. 그가 양궁 세대교체의 선두주자라는 사실을 의심하는 이는 없다. 휠체어테니스의 임호원(23·스포츠토토)도 올해까지 두 번의 패럴림픽을 메달 없이 마쳤지만 남자 단식 1회전에서 명승부를 펼치며 경험을 쌓았다.
주정훈(27·SK에코플랜트)은 태권도의 첫 패럴림픽 정식종목 채택에도 불구하고 종주국의 유일한 선수로 출전, 남자 75㎏급(스포츠등급 K44)에서 값진 동메달을 땄다. 메달 확정 후 경기장에 앉아 무릎 사이에 얼굴을 묻고 한참을 울었던 주정훈은 “경기 시작 전부터 ‘아, 오늘 하루가 내 태권도 인생 같다’는 생각을 했다”며 “기회가 있을 때마다 ‘동정의 대상이 아니라 동경의 대상이 되자’고 이야기했는데 정말 동경의 대상이 됐다”며 활짝 웃었다.
이번 대회에 출전한 한국 선수 85명의 평균 나이는 40.5세. 도쿄 패럴림픽에 선수를 15명 넘게 보낸 국가 중 평균 연령이 가장 많다. 개최국 일본은 평균 33.2세, 중국은 29.7세다. 유망주 발굴이 쉽지 않은 환경이기에 자연스레 세대교체가 더디다. 양궁 대표팀의 여자 선수 4명은 모두 50〜60대로 구성됐다.
이현옥 대한민국 선수단 총감독은 “고령화와 세대교체는 매번 패럴림픽에서 많이 받는 질문이다. 리우 대회 이후 많은 예산을 투입했지만, 하향평준화가 되지 않았나 생각한다”며 “엘리트 선수에 대한 집중과 가능성 있는 선수는 차별화는 특별훈련이 필요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오완석 선수단 부단장은 “어릴 때부터 장애인이 비장애인과 같은 학교에서 함께 공부하는 일이 늘어나는 건 매우 바람직한 일”이라면서도 “문제는 체육 시간이다. 장애인 체육 전문 인력이 있는 학교가 거의 없다 보니 장애가 있는 학생들이 체육 시간에 소외되고 있다. 그렇다 보니 갈수록 유망주 발굴에 어려움을 겪는다. 장애인체육 전문 인력 양성 없이는 진정한 통합교육은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탁구에서 금메달을 목에 건 주영대도 40대 후반이다. 그는 “탁구 종목도 연령대가 높은 편이다. 젊은 후배들이 나오고 올라오면 탁구 종목은 앞으로도 좋아질 것이다”고 기대했다.
부진의 원인을 단순히 ‘나이’와 ‘얕은 선수층’으로만 설명할 수는 없다. 전문성 있는 인력 보강을 통한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일부 종목에서는 선수단이 경기 일정과 규정을 몰라 손해를 보거나, 볼 뻔한 등 허술한 운영도 여러 차례 나왔다.
◇ ‘젊은 피’들 반짝…윤지유·김민수·주정훈 등 가능성 확인
이번 패럴림픽에서 한국 장애인 체육의 ‘미래’를 이끌 일부 차세대 주자들을 발굴한 건 수확이다. 올림픽에서도 신유빈(17·탁구), 여서정(19·체조), 안산(20), 김제덕(19·이상 양궁), 황선우(18·수영) 등 ‘MZ 세대’가 주목받았듯 패럴림픽에도 ‘젊은 피’들이 나섰다. 2000년생 장애인 탁구 여자 국가대표 윤지유(21·성남시청)는 리우 대회 여자단체전(TT1-3) 동메달을 획득한 경험자다. 5년 전에 이어 올해도 한국 선수단의 막내로 출전한 그는 도쿄에서 단체전 은메달 1개, 개인전 동메달 1개를 목에 걸었다.
양궁 대표팀의 1999년생 ‘기대주’ 김민수(22·대구도시철도)는 두 번째 출전인 이번 대회도 노메달로 마쳤지만 기량은 날로 증가하고 있다. 그가 양궁 세대교체의 선두주자라는 사실을 의심하는 이는 없다. 휠체어테니스의 임호원(23·스포츠토토)도 올해까지 두 번의 패럴림픽을 메달 없이 마쳤지만 남자 단식 1회전에서 명승부를 펼치며 경험을 쌓았다.
주정훈(27·SK에코플랜트)은 태권도의 첫 패럴림픽 정식종목 채택에도 불구하고 종주국의 유일한 선수로 출전, 남자 75㎏급(스포츠등급 K44)에서 값진 동메달을 땄다. 메달 확정 후 경기장에 앉아 무릎 사이에 얼굴을 묻고 한참을 울었던 주정훈은 “경기 시작 전부터 ‘아, 오늘 하루가 내 태권도 인생 같다’는 생각을 했다”며 “기회가 있을 때마다 ‘동정의 대상이 아니라 동경의 대상이 되자’고 이야기했는데 정말 동경의 대상이 됐다”며 활짝 웃었다.
Bay News Lab /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