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집권 기간 위안부・강제노역 부정 시도 축적돼
일본인들 기존 역사에 의문 품는다는 분석도 나와
재일조선인 4대 가족을 그린 애플TV+ 드라마 ‘파친코’가 세계 각국에서 평단의 호평과 대중적 인기를 동시에 누리고 있지만 유독 반응이 잠잠한 나라가 있다.
영국 일간 가디언은 세계적인 관심을 받는 ‘파친코’가 정작 작품에 영향을 준 나라 중 하나인 일본에서는 거의 언급되지 않는다고 21일 현지 반응을 전했다. 가디언은 “‘파친코’는 보편적인 이주 경험을 연상시키기도 하지만, 한반도에 대한 일본의 식민지배라는 불편하고 쓰라린 역사적 유산도 상기시킨다”고 설명했다.
재미교포 이민진 작가의 동명 장편소설을 원작으로 한 8부작 드라마 ‘파친코’는 191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격동의 세월을 살아온 재일조선인 가족의 파란만장한 이야기를 다룬다. 3·1 운동, 일본의 수탈과 조선인 강제노역, 일본군 위안부 등 일제강점기 탄압받던 조선인들의 모습이 나오고 일본으로 건너간 이들에게 벌어진 관동대지진 학살 등도 담겼다.
아카데미 수상 배우 윤여정과 한류스타 이민호 등이 출연하는 화제작이지만 일본에서 외면받는 원인 중 하나로 가디언은 일본 주류 사회의 역사 인식과 우익 성향 언론 보도 등을 꼽았다.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다룬 영화 ‘주전장’을 만든 미키 데자키 감독과 우익 세력의 법적 다툼이 대표적인 사례라고 매체는 설명했다.
‘주전장’은 일본 우익과 민족주의자, 역사수정주의자들이 왜 위안부 문제를 부정하고 숨기고 싶어하는지를 쫓아가는 과정을 그린 다큐멘터리다. 영화에 인터뷰 장면이 동의 없이 사용됐다며 우익 성향 인사들이 배급사 등을 상대로 소송을 냈으나 패소했다. 데자키 감독은 재판 결과를 일본 진보 성향 매체조차 거의 다루지 않았다며 “일본 언론 매체, 특히 TV 뉴스가 영화 ‘주전장’이나 드라마 ‘파친코’를 다루지 않는 것은 균형을 잃은 것”이라고 지적했다.
아베 신조 총리의 오랜 집권 기간 일본이 위안부와 강제노역 등을 동원을 부정하는 시도가 축적돼 일본인들이 기존에 받아들여진 역사에 의문을 품는다는 분석도 나왔다. 토코 오카 노리마츠 국제평화박물관네트워크(INMP) 공동대표는 “정치권의 그런 움직임이 일본 사회 전체에 편협한 분위기를 퍼뜨렸다”며 “일본인들은 일본에 인종차별이 존재하지 않으며 자신들이 재일조선인을 차별한 가해자라는 것을 인정하려 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 일본 정치권을 비롯한 주류 사회는 역사수정주의를 고집하고 있다. 일본 정부는 일제강점기 조선인 강제 동원 현장인 사도 광산의 유네스코(UNESCO) 세계문화유산 등록을 추진하고, 교과서에서는 ‘강제연행’ 등 일본 입맛에 맞지 않는 표현을 배제하도록 했다. 미국과 독일 등지에서는 소녀상을 철거하도록 압박했다.
야마구치 도모미 몬태나주립대 교수는 “일본 정부와 주요 매체는 일본이 위안부 등에 책임이 없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며 “젊은 층은 한국의 대중문화에 관심이 있는데. 일본 주류 사회는 역사수정주의에 빠져있다”고 말했다.
영국 일간 가디언은 세계적인 관심을 받는 ‘파친코’가 정작 작품에 영향을 준 나라 중 하나인 일본에서는 거의 언급되지 않는다고 21일 현지 반응을 전했다. 가디언은 “‘파친코’는 보편적인 이주 경험을 연상시키기도 하지만, 한반도에 대한 일본의 식민지배라는 불편하고 쓰라린 역사적 유산도 상기시킨다”고 설명했다.
재미교포 이민진 작가의 동명 장편소설을 원작으로 한 8부작 드라마 ‘파친코’는 191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격동의 세월을 살아온 재일조선인 가족의 파란만장한 이야기를 다룬다. 3·1 운동, 일본의 수탈과 조선인 강제노역, 일본군 위안부 등 일제강점기 탄압받던 조선인들의 모습이 나오고 일본으로 건너간 이들에게 벌어진 관동대지진 학살 등도 담겼다.
아카데미 수상 배우 윤여정과 한류스타 이민호 등이 출연하는 화제작이지만 일본에서 외면받는 원인 중 하나로 가디언은 일본 주류 사회의 역사 인식과 우익 성향 언론 보도 등을 꼽았다.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다룬 영화 ‘주전장’을 만든 미키 데자키 감독과 우익 세력의 법적 다툼이 대표적인 사례라고 매체는 설명했다.
‘주전장’은 일본 우익과 민족주의자, 역사수정주의자들이 왜 위안부 문제를 부정하고 숨기고 싶어하는지를 쫓아가는 과정을 그린 다큐멘터리다. 영화에 인터뷰 장면이 동의 없이 사용됐다며 우익 성향 인사들이 배급사 등을 상대로 소송을 냈으나 패소했다. 데자키 감독은 재판 결과를 일본 진보 성향 매체조차 거의 다루지 않았다며 “일본 언론 매체, 특히 TV 뉴스가 영화 ‘주전장’이나 드라마 ‘파친코’를 다루지 않는 것은 균형을 잃은 것”이라고 지적했다.
아베 신조 총리의 오랜 집권 기간 일본이 위안부와 강제노역 등을 동원을 부정하는 시도가 축적돼 일본인들이 기존에 받아들여진 역사에 의문을 품는다는 분석도 나왔다. 토코 오카 노리마츠 국제평화박물관네트워크(INMP) 공동대표는 “정치권의 그런 움직임이 일본 사회 전체에 편협한 분위기를 퍼뜨렸다”며 “일본인들은 일본에 인종차별이 존재하지 않으며 자신들이 재일조선인을 차별한 가해자라는 것을 인정하려 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 일본 정치권을 비롯한 주류 사회는 역사수정주의를 고집하고 있다. 일본 정부는 일제강점기 조선인 강제 동원 현장인 사도 광산의 유네스코(UNESCO) 세계문화유산 등록을 추진하고, 교과서에서는 ‘강제연행’ 등 일본 입맛에 맞지 않는 표현을 배제하도록 했다. 미국과 독일 등지에서는 소녀상을 철거하도록 압박했다.
야마구치 도모미 몬태나주립대 교수는 “일본 정부와 주요 매체는 일본이 위안부 등에 책임이 없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며 “젊은 층은 한국의 대중문화에 관심이 있는데. 일본 주류 사회는 역사수정주의에 빠져있다”고 말했다.
Bay News Lab / 저작권자 (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