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가 전문가들 ‘미국 경기침체 진입’ 경고…“관세정책 발표전부터 이미 둔화”

JP모건 "물가·소비 충격만으로도 침체 근접해"…UBS "기술적 침체 빠질 것"

뉴욕 증권거래소. 자료사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전 세계 교역국을 상대로 고율의 상호관세 부과를 발표하면서 미국이 경기침체에 진입할 위험이 커졌다는 경고가 월가에서 나오고 있다.

3일 블룸버그 통신 등에 따르면 JP모건체이스의 마이클 페롤리 미국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전날 투자자 노트에서 상호관세가 올해 인플레이션을 1.5%포인트 올릴 수 있는 반면 개인소득과 소비지출을 억누를 수 있다며 “이 효과만으로도 미국 경제를 위험할 정도로 침체에 가까워지게 할 수 있다”라고 진단했다.

페롤리 이코노미스트는 트럼프 대통령이 밝힌 상호관세의 평균 실효세율이 23% 이상이라고 평가하면서 이 같은 관세율은 보호무역주의가 득세했던 1차 세계대전 발발 이전 시기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UBS의 조너선 핑글 미국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상호관세 여파로 미국 경제가 2개 분기 연속 마이너스 성장을 나타내는 기술적 침체에 빠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핑글 이코노미스트는 “경기 확장세는 이미 둔화되고 있었고, 재정지원은 약해지고 있었으며, 소비 강도도 축소되고 있었다”며 상호관세 발표 이전에 이미 미국 경제에 대한 신뢰가 약화 징후를 보이고 있었다고 진단했다.

뉴욕증시가 추가 하락을 이어갈 것이란 경고도 나왔다. RBC캐피털마켓츠의 로리 칼바시나가 이끄는 주식전략팀은 상호관세 여파로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가 4,900∼5,300으로 추가 하락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지난 2월 고점 대비 낙폭이 최대 20%에 이를 수 있다고 본 것이다.

칼바시나 전략가는 캐나다와 멕시코에 추가 조치가 부여되지 않은 점과 협상 여지가 남았다는 점은 희망적인 요인이라고 지목하면서도 예외 조항의 부재와 최종 관세 수준에 대한 불확실성 지속, 경제심리 악영향 등을 우려 요인으로 지목했다.


SF Bay News Lab / editor@baynewslab.com
저작권자 ©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광고문의 ad@baynewslab.com

Related Posts

의견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