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전 문 대통령, 일본에 반성 촉구한 것과 대비
윤석열 대통령이 취임 후 첫 3·1절 기념사에서 일본을 ‘파트너’로 규정하며 분명한 협력 의지를 드러냈다.
최대 현안인 일제강점기 강제징용 배상 문제의 최종 해법을 도출하기 위해 양국이 막판 속도를 내고 있고, 올 상반기 한일정상회담 개최 여부를 놓고 논의 중인 상황이 반영된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윤 대통령은 1일 오전(한국시간) 서울 중구 유관순기념관에서 열린 ‘제104회 3·1절 기념식’ 기념사에서 일본에 대해 “과거 군국주의 침략자에서 보편적 가치를 공유하고 안보와 경제, 그리고 글로벌 어젠다에서 협력하는 파트너로 변했다”고 밝혔다. 이어 “안보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한미일 간 협력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다”고 강조했다.
고조되는 북핵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안보 영역을 포함해 일본과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으로 해석된다.
윤 대통령은 특히 “보편적 가치를 공유하는 국가들과 연대하고 협력해 세계 시민의 자유 확대와 세계 공동의 번영에 기여해야 한다”며 “이것은 104년 전, 조국의 자유와 독립을 외친 그 정신과 다르지 않다”고 강조했다. 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 등을 공유하는 일본과 협력을 강화하는 것이 3·1정신에 담겼던 “자유로운 민주국가”의 방향성과 같다는 언급이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조국의 자유와 독립을 지킨 그 정신을 번영의 미래로 가져가자는 메시지”라며 “선열들의 희생이, 오늘의 우리가 후손들에게 번영의 미래를 안겨주기 위해 가져와야 하는 자유의 정신과 맞닿아 있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1천300자 남짓 분량의 기념사에서 강제징용, 위안부 등 구체적인 과거사 현안은 등장하지 않았다. 일본에 대한 사죄나 반성 요구로 해석될만한 언급도 없었다.
문재인 전 대통령이 지난 2018년 첫 3·1절 기념사에서 유관순 열사를 포함해 국내외 독립운동을 상술하고, ‘가해자’ ‘반인륜적 인권 범죄’ 등의 표현을 써가며 반성을 촉구한 것과는 대비되는 대목이다.
한일관계 개선 의지를 줄곧 밝혀온 윤석열 정부 기조가 반영된 것으로, 한일 간 강제징용 협상을 고려한 것으로도 풀이된다. 한일 양국은 외교당국을 중심으로 징용 배상 해법에 대한 협의에 전력을 다하는 상황이다.
일본 외무성에서 협상 실무를 담당하는 후나코시 다케히로 아시아대양주 국장이 지난 주말 비공개 방한한 것으로 전해졌다는 보도가 나온 데 이어 박진 외교부 장관도 전날 징용 피해자의 유족 측과 처음으로 단체로 마주 앉아 정부안에 대한 의견을 경청했다.
이런 가운데 한일 관계를 가늠할 ‘바로미터’라 할 3·1절 기념사에서 윤 대통령이 일본과 협력을 전면에 부각하면서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간 정상회담 논의가 무르익을지에도 관심이 쏠린다.
현재로서는 윤 대통령의 첫 방일을 통한 한일정상회담이 상반기에 열릴 것으로 점쳐지는 가운데 주요 계기로 꼽히는 5월의 ‘히로시마 주요7개국(G7) 정상회의’보다 앞당겨져 성사될 수도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강제징용 관련 이달 중 협상 타결 가능성에 대해 “아직 단언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전했다.
최대 현안인 일제강점기 강제징용 배상 문제의 최종 해법을 도출하기 위해 양국이 막판 속도를 내고 있고, 올 상반기 한일정상회담 개최 여부를 놓고 논의 중인 상황이 반영된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윤 대통령은 1일 오전(한국시간) 서울 중구 유관순기념관에서 열린 ‘제104회 3·1절 기념식’ 기념사에서 일본에 대해 “과거 군국주의 침략자에서 보편적 가치를 공유하고 안보와 경제, 그리고 글로벌 어젠다에서 협력하는 파트너로 변했다”고 밝혔다. 이어 “안보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한미일 간 협력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다”고 강조했다.
고조되는 북핵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안보 영역을 포함해 일본과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으로 해석된다.
윤 대통령은 특히 “보편적 가치를 공유하는 국가들과 연대하고 협력해 세계 시민의 자유 확대와 세계 공동의 번영에 기여해야 한다”며 “이것은 104년 전, 조국의 자유와 독립을 외친 그 정신과 다르지 않다”고 강조했다. 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 등을 공유하는 일본과 협력을 강화하는 것이 3·1정신에 담겼던 “자유로운 민주국가”의 방향성과 같다는 언급이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조국의 자유와 독립을 지킨 그 정신을 번영의 미래로 가져가자는 메시지”라며 “선열들의 희생이, 오늘의 우리가 후손들에게 번영의 미래를 안겨주기 위해 가져와야 하는 자유의 정신과 맞닿아 있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1천300자 남짓 분량의 기념사에서 강제징용, 위안부 등 구체적인 과거사 현안은 등장하지 않았다. 일본에 대한 사죄나 반성 요구로 해석될만한 언급도 없었다.
문재인 전 대통령이 지난 2018년 첫 3·1절 기념사에서 유관순 열사를 포함해 국내외 독립운동을 상술하고, ‘가해자’ ‘반인륜적 인권 범죄’ 등의 표현을 써가며 반성을 촉구한 것과는 대비되는 대목이다.
한일관계 개선 의지를 줄곧 밝혀온 윤석열 정부 기조가 반영된 것으로, 한일 간 강제징용 협상을 고려한 것으로도 풀이된다. 한일 양국은 외교당국을 중심으로 징용 배상 해법에 대한 협의에 전력을 다하는 상황이다.
일본 외무성에서 협상 실무를 담당하는 후나코시 다케히로 아시아대양주 국장이 지난 주말 비공개 방한한 것으로 전해졌다는 보도가 나온 데 이어 박진 외교부 장관도 전날 징용 피해자의 유족 측과 처음으로 단체로 마주 앉아 정부안에 대한 의견을 경청했다.
이런 가운데 한일 관계를 가늠할 ‘바로미터’라 할 3·1절 기념사에서 윤 대통령이 일본과 협력을 전면에 부각하면서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간 정상회담 논의가 무르익을지에도 관심이 쏠린다.
현재로서는 윤 대통령의 첫 방일을 통한 한일정상회담이 상반기에 열릴 것으로 점쳐지는 가운데 주요 계기로 꼽히는 5월의 ‘히로시마 주요7개국(G7) 정상회의’보다 앞당겨져 성사될 수도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강제징용 관련 이달 중 협상 타결 가능성에 대해 “아직 단언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전했다.
Bay News Lab / 저작권자 (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