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DF15' 호르몬 많으면 입덧 심해…증상개선 약물·예방법 기대
임신 중 입덧의 주요 원인이 특정 호르몬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와 입덧 치료의 길이 열렸다. 최근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서던캘리포니아대(USC)·영국 케임브리지대 연구진은 입덧이 주로 ‘GDF15’라는 호르몬 때문에 발생한다는 논문을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공개했다.
연구진은 임신부의 혈액 내 GDF15의 농도를 측정하고 입덧과 관련된 유전적 위험 요인을 분석했다. 연구 결과 입덧을 겪는 임신부가 관련 증상이 없는 임신부보다 임신 기간에 GDF15의 농도가 뚜렷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GDF15는 인체의 여러 조직에서 감염 같은 스트레스에 반응해 분비되는 호르몬이다. 이 호르몬의 신호를 받아들이는 수용체는 뇌에서 메스꺼움과 구토를 담당하는 부분에 몰려 있어 GDF15가 늘어나면 메스꺼움과 구토도 심해진다는 것이다.
연구진은 또 희소한 혈액병으로 인해 GDF15의 농도가 만성적으로 높은 한 여성이 임신을 해도 입덧 증상이 거의 없었던 사례를 확인했다. 이에 따라 임신부가 임신 이전에 장기간 GDF15에 노출되면 임신 이후 이 호르몬의 증가에 둔감해지면서 악영향이 약해진다는 가설을 세웠다.
실제로 연구진이 사전에 소량의 GDF15 호르몬에 노출된 쥐와 그렇지 않은 대조군에 훨씬 많은 양의 호르몬을 투여하자 대조군이 식욕을 많이 잃은 데 비해 전자는 식욕을 덜 잃어 호르몬의 영향에 둔감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임신부의 3분의 2 이상이 임신 초기 3개월 동안 메스꺼움·구토 같은 증상을 겪으며, 여성 중 약 2%는 임신 기간 내내 메스꺼움과 구토 등 입덧으로 입원한다. 입덧은 영양실조·체중 감소·탈수 증상을 초래할 수 있으며, 조기 출산·혈전 등의 위험성을 높여 임신부와 태아의 생명을 위협한다.
하지만 임신부의 메스꺼움·구토 증상이 워낙 흔해서인지 의사들은 입덧의 심각성을 간과하고 임신부가 입덧으로 입원까지 하는 상황에서도 심리적인 것으로 치부하는 경우가 잦았다고 전문가들은 설명했다.
이번 논문의 공동 저자인 마를레나 페조 USC 교수는 “나는 20년 동안 이를 연구했지만, 여전히 여성이 입덧으로 숨지면서 제대로 치료받지 못하고 있다는 보고들이 있다”고 밝혔다. 페조 교수 자신도 1999년 임신 당시 극심한 구토와 체중 감소, 일어서거나 걷기도 힘들 정도로 몸이 쇠약해지는 증세를 겪었다.
하지만 당시 의사는 페조 교수가 관심을 끌려고 증상을 과장하는 것 같다며 무시했고, 페조 교수는 결국 입원했다가 임신 15주 때 유산하는 아픔을 겪었다고 NYT는 전했다. 이후 페조 교수는 2018년 입덧 환자들이 GDF15 호르몬 유전자 변이체를 보유하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주는 논문을 발표했고, 이번에 후속 연구 결과를 선보였다.
전문가들은 이번 연구 결과로 입덧에 대한 더 나은 치료법이 나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뇌에서 GDF15 호르몬의 효과를 차단하는 약물의 임신부에 대한 안전성이 입증되면 입덧 환자는 이 약물을 복용해 증상을 완화할 수 있게 된다. 또 과거 심각한 입덧을 겪은 여성에게 임신 전 소량의 GDF15 호르몬을 미리 투여, 둔감하게 만들어 입덧을 예방하는 것도 가능해질 것으로 보인다.
연구진은 임신부의 혈액 내 GDF15의 농도를 측정하고 입덧과 관련된 유전적 위험 요인을 분석했다. 연구 결과 입덧을 겪는 임신부가 관련 증상이 없는 임신부보다 임신 기간에 GDF15의 농도가 뚜렷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GDF15는 인체의 여러 조직에서 감염 같은 스트레스에 반응해 분비되는 호르몬이다. 이 호르몬의 신호를 받아들이는 수용체는 뇌에서 메스꺼움과 구토를 담당하는 부분에 몰려 있어 GDF15가 늘어나면 메스꺼움과 구토도 심해진다는 것이다.
연구진은 또 희소한 혈액병으로 인해 GDF15의 농도가 만성적으로 높은 한 여성이 임신을 해도 입덧 증상이 거의 없었던 사례를 확인했다. 이에 따라 임신부가 임신 이전에 장기간 GDF15에 노출되면 임신 이후 이 호르몬의 증가에 둔감해지면서 악영향이 약해진다는 가설을 세웠다.
실제로 연구진이 사전에 소량의 GDF15 호르몬에 노출된 쥐와 그렇지 않은 대조군에 훨씬 많은 양의 호르몬을 투여하자 대조군이 식욕을 많이 잃은 데 비해 전자는 식욕을 덜 잃어 호르몬의 영향에 둔감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임신부의 3분의 2 이상이 임신 초기 3개월 동안 메스꺼움·구토 같은 증상을 겪으며, 여성 중 약 2%는 임신 기간 내내 메스꺼움과 구토 등 입덧으로 입원한다. 입덧은 영양실조·체중 감소·탈수 증상을 초래할 수 있으며, 조기 출산·혈전 등의 위험성을 높여 임신부와 태아의 생명을 위협한다.
하지만 임신부의 메스꺼움·구토 증상이 워낙 흔해서인지 의사들은 입덧의 심각성을 간과하고 임신부가 입덧으로 입원까지 하는 상황에서도 심리적인 것으로 치부하는 경우가 잦았다고 전문가들은 설명했다.
이번 논문의 공동 저자인 마를레나 페조 USC 교수는 “나는 20년 동안 이를 연구했지만, 여전히 여성이 입덧으로 숨지면서 제대로 치료받지 못하고 있다는 보고들이 있다”고 밝혔다. 페조 교수 자신도 1999년 임신 당시 극심한 구토와 체중 감소, 일어서거나 걷기도 힘들 정도로 몸이 쇠약해지는 증세를 겪었다.
하지만 당시 의사는 페조 교수가 관심을 끌려고 증상을 과장하는 것 같다며 무시했고, 페조 교수는 결국 입원했다가 임신 15주 때 유산하는 아픔을 겪었다고 NYT는 전했다. 이후 페조 교수는 2018년 입덧 환자들이 GDF15 호르몬 유전자 변이체를 보유하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주는 논문을 발표했고, 이번에 후속 연구 결과를 선보였다.
전문가들은 이번 연구 결과로 입덧에 대한 더 나은 치료법이 나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뇌에서 GDF15 호르몬의 효과를 차단하는 약물의 임신부에 대한 안전성이 입증되면 입덧 환자는 이 약물을 복용해 증상을 완화할 수 있게 된다. 또 과거 심각한 입덧을 겪은 여성에게 임신 전 소량의 GDF15 호르몬을 미리 투여, 둔감하게 만들어 입덧을 예방하는 것도 가능해질 것으로 보인다.
Bay News Lab / 저작권자 (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