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흐라만마라슈 7개 지역 구조활동 종료
생존자 지원으로 전환 수순 살아남은 사람들도 '2차 재난' 위기
피부병·설사 환자 발생 시리아서만 530만명 거처 잃어
유엔 "시리아 상황 내전보다 심각"
튀르키예(터키)와 시리아에 강진이 덮친 지 일주일이 지났지만, 기적적인 생환 소식은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시간이 흐를수록 희망은 점차 잦아드는 분위기다. 양국의 공식 사망자 집계는 3만7천명을 넘어섰다.
튀르키예 재난관리국(AFAD)은 13일(현지시간) 튀르키예에서 사망자가 3만1천643명으로 추가 집계됐다고 발표했다. 튀르키예와 국경을 맞댄 시리아 서북부의 반군 점령 지역에서는 최소 4천300명이 숨지고 7천600명이 다쳤다고 유엔 인도주의업무조정국(OCHA)이 밝혔다.
시리아 정부가 보고한 사망자 수를 합치면 시리아에서 사망자 수치는 5천714명이 넘는다. 로이터, dpa 통신 등 외신들이 집계한 두 국가의 사망자 수는 3만7천명 이상으로 2003년 이란 대지진(사망자 3만1천명)의 피해 규모를 훌쩍 뛰어넘었다.
이번 튀르키예·시리아 강진은 21세기 들어 역대 6번째로 많은 인명 피해를 낳은 자연재해로 기록됐다. 5번째로 많은 사망자를 낸 재난은 2005년 파키스탄 대지진(7만3천명)이다.
규모 7.8과 7.5의 강진이 일어난 지도 일주일이 지났지만 생존자 구조 소식은 이어졌다. 튀르키예 남부 카흐라만마라슈에서 10세 소녀가 건물 잔해에 갇힌 지 183시간 만에 구조됐다고 현지 하베르투르크방송이 보도했다.
튀르키예 국영 아나돌루 통신에 따르면 이날 남부 하타이주 마을에서 13세 소년이 182시간 만에 구조됐다. 튀르키예·오만 구조팀은 이날 오전 안타키야에서 매몰된 지 176시간이 지난 여성을 구출하는 데 성공했다.
이날 가지안테프주의 마을 이슬라히예에서 40대 여성이 매몰 170시간 만에 살아서 돌아왔다. 이 여성이 구조되기 몇 시간 전 아디야만주의 작은 마을 베스니에서도 60대 여성이 살아서 잔해 밖으로 나왔다. 한국 긴급구호대는 이날까지 총 8명의 생존자를 구조했으며 시신 18구를 수습했다.
이처럼 기적 같은 구조 소식이 간간이 이어지고 있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생환에 대한 희망은 점차 잦아들고 있다. 에두아르도 레이노소 앙굴로 멕시코국립자치대 공학연구소 교수는 AP 통신에 현시점에서 생존자가 존재할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밝혔다.
지진으로 인해 무너진 건물 내에서의 생존 가능성을 연구한 레이노소 교수는 “잔해에 갇힌 사람은 5일이 지나면 생존할 가능성이 매우 낮아지고, 예외는 있지만 9일 후에는 0%에 가깝다”고 설명했다. 데이비드 알렉산더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CL)의 비상계획 교수는 “잔해에서 살아 있는 사람을 구해낼 기회는 거의 사라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현지 추운 날씨는 생존 가능성을 더욱 낮추고 있다. 전날 밤 튀르키예 지진 피해 지역의 기온은 영하 6도까지 떨어졌다. AFP 통신은 카흐라만마라슈의 7개 지역에서 구조 작업이 종료되는 등 이제 매몰자 구출보다는 살아남은 생존자들에 대한 후속 지원 쪽으로 초점이 옮겨가고 있다고 전했다.
현재 지진 생존자들은 영하의 추위와 배고픔, 추가 여진 우려, 식수 부족, 열악한 위생 상태 탓에 ‘2차 재난’에 노출될 위험이 커지고 있다. 튀르키예 남부 아디야만에서는 성인들에게 전염성이 무척 강한 피부병인 ‘옴’이 발병하고, 어린이들은 설사에 시달리고 있다고 현지 언론매체들이 보도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약탈 행위까지 기승을 부리고 있다. 튀르키예 8개 주에서 하루에만 최소 48명이 약탈 등의 혐의로 체포됐고, 하타이주에서는 구호단체 직원을 사칭해 트럭 6대분의 식량을 가로채려 한 사건도 발생했다.
지진 피해 지역을 떠나는 행렬도 계속 이어지고 있다. 푸아트 옥타이 튀르키예 부통령은 이날까지 10만8천채의 건물이 파괴됐으며, 40만명이 피해 지역을 빠져나왔다고 밝혔다.
튀르키예 정부의 늑장·부실 대응에 대중의 분노는 좀처럼 사그라지지 않고 있다. 튀르키예 경찰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거짓 정보를 토대로 정부를 비난한 이용자 56명을 체포했다고 밝혔다.
이번 강진으로 가장 큰 타격을 받은 곳 중의 하나인 시리아 서북부 반군 지역에 대한 구호는 여전히 차질을 빚고 있다. 유엔 집계에 따르면 시리아에서는 530만명이 거처를 잃었고, 20만명이 피해 지역을 떠났다.
전 세계 각국으로부터 인도주의적 지원을 받는 튀르키예와 달리 국제사회의 제재를 받는 시리아는 상당수 국가로부터 직접 원조를 받지 못했다. 이날 시리아 알레포를 찾은 마틴 그리피스 유엔 인도주의·긴급구호 사무차장은 “이 도시는 지난 10여 년간 내전의 주요 전선이었지만, 지금 이 순간 이곳 주민들은 최악을 경험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바샤르 알아사드가 이끄는 정부 지역에서 반군 지역으로 구호 물품이 수송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시리아 북부에서 활동하는 다양한 무장세력 간의 갈등은 구호 활동의 가장 큰 걸림돌이다. 반군 내 최대 파벌이자 알카에다 시리아 지부의 후신인 ‘하야트 타흐리르 알샴'(HTS)은 정부군 통제 지역에서 반군 장악 지역으로 구호 물품이 수송되는 것을 거부했다. 지난 9일에는 쿠르드 세력의 구호 차량이 서북부 지진 피해 지역으로 가려다가 튀르키예의 지원을 받는 무장 세력의 저지로 물품을 전달하지 못한 채 돌아가기도 했다.
위생이 악화하고 깨끗한 물 공급이 어려운 시리아 피해 지역에서는 전염병이 창궐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유엔아동기금(UNICEF·유니세프) 소통 담당관인 에바 하인스는 “시리아인 절반 이상이 안전하지 않은, 대안적 물 공급원에 의존하기에 콜레라 같은 수인성 급성 전염병에 더욱 취약하다”고 걱정했다.
튀르키예 재난관리국(AFAD)은 13일(현지시간) 튀르키예에서 사망자가 3만1천643명으로 추가 집계됐다고 발표했다. 튀르키예와 국경을 맞댄 시리아 서북부의 반군 점령 지역에서는 최소 4천300명이 숨지고 7천600명이 다쳤다고 유엔 인도주의업무조정국(OCHA)이 밝혔다.
시리아 정부가 보고한 사망자 수를 합치면 시리아에서 사망자 수치는 5천714명이 넘는다. 로이터, dpa 통신 등 외신들이 집계한 두 국가의 사망자 수는 3만7천명 이상으로 2003년 이란 대지진(사망자 3만1천명)의 피해 규모를 훌쩍 뛰어넘었다.
이번 튀르키예·시리아 강진은 21세기 들어 역대 6번째로 많은 인명 피해를 낳은 자연재해로 기록됐다. 5번째로 많은 사망자를 낸 재난은 2005년 파키스탄 대지진(7만3천명)이다.
규모 7.8과 7.5의 강진이 일어난 지도 일주일이 지났지만 생존자 구조 소식은 이어졌다. 튀르키예 남부 카흐라만마라슈에서 10세 소녀가 건물 잔해에 갇힌 지 183시간 만에 구조됐다고 현지 하베르투르크방송이 보도했다.
튀르키예 국영 아나돌루 통신에 따르면 이날 남부 하타이주 마을에서 13세 소년이 182시간 만에 구조됐다. 튀르키예·오만 구조팀은 이날 오전 안타키야에서 매몰된 지 176시간이 지난 여성을 구출하는 데 성공했다.
이날 가지안테프주의 마을 이슬라히예에서 40대 여성이 매몰 170시간 만에 살아서 돌아왔다. 이 여성이 구조되기 몇 시간 전 아디야만주의 작은 마을 베스니에서도 60대 여성이 살아서 잔해 밖으로 나왔다. 한국 긴급구호대는 이날까지 총 8명의 생존자를 구조했으며 시신 18구를 수습했다.
이처럼 기적 같은 구조 소식이 간간이 이어지고 있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생환에 대한 희망은 점차 잦아들고 있다. 에두아르도 레이노소 앙굴로 멕시코국립자치대 공학연구소 교수는 AP 통신에 현시점에서 생존자가 존재할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밝혔다.
지진으로 인해 무너진 건물 내에서의 생존 가능성을 연구한 레이노소 교수는 “잔해에 갇힌 사람은 5일이 지나면 생존할 가능성이 매우 낮아지고, 예외는 있지만 9일 후에는 0%에 가깝다”고 설명했다. 데이비드 알렉산더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CL)의 비상계획 교수는 “잔해에서 살아 있는 사람을 구해낼 기회는 거의 사라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현지 추운 날씨는 생존 가능성을 더욱 낮추고 있다. 전날 밤 튀르키예 지진 피해 지역의 기온은 영하 6도까지 떨어졌다. AFP 통신은 카흐라만마라슈의 7개 지역에서 구조 작업이 종료되는 등 이제 매몰자 구출보다는 살아남은 생존자들에 대한 후속 지원 쪽으로 초점이 옮겨가고 있다고 전했다.
현재 지진 생존자들은 영하의 추위와 배고픔, 추가 여진 우려, 식수 부족, 열악한 위생 상태 탓에 ‘2차 재난’에 노출될 위험이 커지고 있다. 튀르키예 남부 아디야만에서는 성인들에게 전염성이 무척 강한 피부병인 ‘옴’이 발병하고, 어린이들은 설사에 시달리고 있다고 현지 언론매체들이 보도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약탈 행위까지 기승을 부리고 있다. 튀르키예 8개 주에서 하루에만 최소 48명이 약탈 등의 혐의로 체포됐고, 하타이주에서는 구호단체 직원을 사칭해 트럭 6대분의 식량을 가로채려 한 사건도 발생했다.
지진 피해 지역을 떠나는 행렬도 계속 이어지고 있다. 푸아트 옥타이 튀르키예 부통령은 이날까지 10만8천채의 건물이 파괴됐으며, 40만명이 피해 지역을 빠져나왔다고 밝혔다.
튀르키예 정부의 늑장·부실 대응에 대중의 분노는 좀처럼 사그라지지 않고 있다. 튀르키예 경찰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거짓 정보를 토대로 정부를 비난한 이용자 56명을 체포했다고 밝혔다.
이번 강진으로 가장 큰 타격을 받은 곳 중의 하나인 시리아 서북부 반군 지역에 대한 구호는 여전히 차질을 빚고 있다. 유엔 집계에 따르면 시리아에서는 530만명이 거처를 잃었고, 20만명이 피해 지역을 떠났다.
전 세계 각국으로부터 인도주의적 지원을 받는 튀르키예와 달리 국제사회의 제재를 받는 시리아는 상당수 국가로부터 직접 원조를 받지 못했다. 이날 시리아 알레포를 찾은 마틴 그리피스 유엔 인도주의·긴급구호 사무차장은 “이 도시는 지난 10여 년간 내전의 주요 전선이었지만, 지금 이 순간 이곳 주민들은 최악을 경험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바샤르 알아사드가 이끄는 정부 지역에서 반군 지역으로 구호 물품이 수송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시리아 북부에서 활동하는 다양한 무장세력 간의 갈등은 구호 활동의 가장 큰 걸림돌이다. 반군 내 최대 파벌이자 알카에다 시리아 지부의 후신인 ‘하야트 타흐리르 알샴'(HTS)은 정부군 통제 지역에서 반군 장악 지역으로 구호 물품이 수송되는 것을 거부했다. 지난 9일에는 쿠르드 세력의 구호 차량이 서북부 지진 피해 지역으로 가려다가 튀르키예의 지원을 받는 무장 세력의 저지로 물품을 전달하지 못한 채 돌아가기도 했다.
위생이 악화하고 깨끗한 물 공급이 어려운 시리아 피해 지역에서는 전염병이 창궐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유엔아동기금(UNICEF·유니세프) 소통 담당관인 에바 하인스는 “시리아인 절반 이상이 안전하지 않은, 대안적 물 공급원에 의존하기에 콜레라 같은 수인성 급성 전염병에 더욱 취약하다”고 걱정했다.
Bay News Lab / 저작권자 (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