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상 첫 공식 기자회견서 적극 발언…"'소극적' 젊은 군인들 태도 인상적"
올해 노벨문학상 수상자 한강이 6일(현지시간) “2024년에 다시 계엄 상황이 전개되는 것에 큰 충격을 받았다”고 밝혔다. 한강은 이날 스웨덴 스톡홀롬 노벨상박물관에서 열린 노벨문학상 수상 기념 기자간담회에서 한국의 비상계엄 사태 관련 질의에 5·18 광주민주화운동을 소재로 한 소설 ‘소년이 온다’를 집필하기 위해 당시 계엄 상황을 공부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바라건대 무력이나 강압으로 언로를 막는 방식으로 통제하는 과거의 상황으로 돌아가지 않기를 간절히 바라고 있다”고 강조했다. 한강은 1979년 말부터 진행됐던 과거의 계엄 상황과 2024년 겨울의 상황이 다른 점은 모든 것이 생중계돼 모두가 지켜볼 수 있었다는 점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맨손으로 무장한 군인들을 껴안으면서 제지하려고 하는 모습도 보았고, 총을 들고 다가오는 군인들 앞에서 버텨보려고 애쓰는 사람들의 모습도 보았다. 마지막에 군인들이 물러갈 때는 마치 아들에게 하듯이 ‘잘 가’라고 소리치는 모습도 보았다”며 “그분들의 진심과 용기가 느껴졌던 순간이었다”고 떠올렸다.
또 “젊은 경찰분들, 군인 분들의 태도도 인상 깊었다”며 “예기치 못한 상황에서 판단하려고 하고, 내적 충돌을 느끼면서 최대한 소극적으로 움직이고 있다는 느낌을 받았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그런(계엄) 명령을 내린 사람들 입장에선 소극적인 것이었겠지만 보편적인 가치의 관점에서 본다면 생각하고 판단하고 고통을 느끼면서 해결책을 찾으려고 했던 적극적인 행위였다고 생각된다”고 견해를 밝혔다.
한강은 한국 내 표현의 자유에 대한 우려를 묻는 외신 기자의 질문에 “언어에는 강압적으로 그걸 눌러서 길을 막으려 한다고 해도 잘되지 않는 속성이 있다”며 “그런 언어의 힘은 변화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강이 지난 10월 노벨문학상 수상자로 선정된 이후 공식 회견에 나선 건 이번이 처음이다. 특히 그가 계엄 상황에서 벌어진 광주민주화운동 등 우리나라 현대사의 비극을 작품 소재로 다뤘다는 점에서 최근의 비상계엄 사태와 맞물려 어느 때보다 그의 ‘메시지’에 이목이 집중됐다.
한강은 이날 자신의 소설 ‘채식주의자’를 둘러싼 유해도서 지정 논란에 대해서도 사실상 첫 입장을 밝혔다. 그는 “이 책의 운명이란 생각이 들기도 한다”며 “그러나 이 소설에 유해도서라는 낙인을 찍고, 도서관에서 폐기하는 것이 책을 쓴 사람으로서 가슴 아픈 일이었다”고 말했다.
아울러 “‘채식주의자’는 2019년 스페인에서 고등학생들이 주는 상을 받은 적이 있다”면서 “(스페인의) 고등학교 문학 도서 선생님들이 추천 도서 목록을 만들어 학생들에게 읽히고. 학생들이 오랜 시간 토론해서 그 책이 선정됐다”고 했다.
한강은 노벨문학상은 작가 개인이 아닌 “문학에 주는 상”이라고 해석하며 문학이 가진 본질적인 힘을 강조했다. 그는 “문학은 끊임없이 타인의 내면으로 들어가고, 또 그런 과정에서 자기 내면에 깊게 파고들어 가는 행위여서 그런 행위를 반복하면서 내적인 힘이 생긴다”며 “문학은 우리에게 여분의 것이 아니라 꼭 필요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수상 직후엔 쏟아진 관심이 부담스러웠다면서도 “(이제는) 부담을 느끼지 않고, 글을 쓸 준비가 돼 있다”라고도 했다. 한강은 한국에서 ‘제2의 한강’을 배출하기 위한 여건을 묻는 말에는 “어릴 때부터 최소한 문학작품을 학교에서 서너권 읽고 토론하고 다각도로 이야기 나누고 문학작품을 읽는 근육 같은 것을 기를 수 있게 하는 교육이 필요할 것 같다”고 견해를 밝혔다.
이어 “모든 독자가 작가인 것은 아니지만, 모든 작가는 열렬한 독자라고 하지 않느냐”며 “일단은 깊게 읽고 흥미롭게 읽는 것을 재미있어하는 좋은 독자들이 많이 나오는 게 가장 좋을 것 같다”고 덧붙였다.
스웨덴 한림원은 지난 10월 10일 올해 노벨 문학상 수상자로 한강을 선정했다. 당시 한림원은 그의 작품 세계를 “역사적 트라우마에 맞서고 인간 삶의 연약함을 드러낸 강렬한 시적 산문”이라며 선정 사유를 밝혔다.
한강은 7일 스웨덴 한림원의 공식 유튜브로 생중계되는 1시간 분량의 강연을 통해 자신의 작품세계를 보다 깊이 있게 소개할 예정이다. 10일에는 노벨상 시상식 연단에 올라 노벨상 메달과 증서를 받는다.
그는 “바라건대 무력이나 강압으로 언로를 막는 방식으로 통제하는 과거의 상황으로 돌아가지 않기를 간절히 바라고 있다”고 강조했다. 한강은 1979년 말부터 진행됐던 과거의 계엄 상황과 2024년 겨울의 상황이 다른 점은 모든 것이 생중계돼 모두가 지켜볼 수 있었다는 점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맨손으로 무장한 군인들을 껴안으면서 제지하려고 하는 모습도 보았고, 총을 들고 다가오는 군인들 앞에서 버텨보려고 애쓰는 사람들의 모습도 보았다. 마지막에 군인들이 물러갈 때는 마치 아들에게 하듯이 ‘잘 가’라고 소리치는 모습도 보았다”며 “그분들의 진심과 용기가 느껴졌던 순간이었다”고 떠올렸다.
또 “젊은 경찰분들, 군인 분들의 태도도 인상 깊었다”며 “예기치 못한 상황에서 판단하려고 하고, 내적 충돌을 느끼면서 최대한 소극적으로 움직이고 있다는 느낌을 받았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그런(계엄) 명령을 내린 사람들 입장에선 소극적인 것이었겠지만 보편적인 가치의 관점에서 본다면 생각하고 판단하고 고통을 느끼면서 해결책을 찾으려고 했던 적극적인 행위였다고 생각된다”고 견해를 밝혔다.
한강은 한국 내 표현의 자유에 대한 우려를 묻는 외신 기자의 질문에 “언어에는 강압적으로 그걸 눌러서 길을 막으려 한다고 해도 잘되지 않는 속성이 있다”며 “그런 언어의 힘은 변화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강이 지난 10월 노벨문학상 수상자로 선정된 이후 공식 회견에 나선 건 이번이 처음이다. 특히 그가 계엄 상황에서 벌어진 광주민주화운동 등 우리나라 현대사의 비극을 작품 소재로 다뤘다는 점에서 최근의 비상계엄 사태와 맞물려 어느 때보다 그의 ‘메시지’에 이목이 집중됐다.
한강은 이날 자신의 소설 ‘채식주의자’를 둘러싼 유해도서 지정 논란에 대해서도 사실상 첫 입장을 밝혔다. 그는 “이 책의 운명이란 생각이 들기도 한다”며 “그러나 이 소설에 유해도서라는 낙인을 찍고, 도서관에서 폐기하는 것이 책을 쓴 사람으로서 가슴 아픈 일이었다”고 말했다.
아울러 “‘채식주의자’는 2019년 스페인에서 고등학생들이 주는 상을 받은 적이 있다”면서 “(스페인의) 고등학교 문학 도서 선생님들이 추천 도서 목록을 만들어 학생들에게 읽히고. 학생들이 오랜 시간 토론해서 그 책이 선정됐다”고 했다.
한강은 노벨문학상은 작가 개인이 아닌 “문학에 주는 상”이라고 해석하며 문학이 가진 본질적인 힘을 강조했다. 그는 “문학은 끊임없이 타인의 내면으로 들어가고, 또 그런 과정에서 자기 내면에 깊게 파고들어 가는 행위여서 그런 행위를 반복하면서 내적인 힘이 생긴다”며 “문학은 우리에게 여분의 것이 아니라 꼭 필요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수상 직후엔 쏟아진 관심이 부담스러웠다면서도 “(이제는) 부담을 느끼지 않고, 글을 쓸 준비가 돼 있다”라고도 했다. 한강은 한국에서 ‘제2의 한강’을 배출하기 위한 여건을 묻는 말에는 “어릴 때부터 최소한 문학작품을 학교에서 서너권 읽고 토론하고 다각도로 이야기 나누고 문학작품을 읽는 근육 같은 것을 기를 수 있게 하는 교육이 필요할 것 같다”고 견해를 밝혔다.
이어 “모든 독자가 작가인 것은 아니지만, 모든 작가는 열렬한 독자라고 하지 않느냐”며 “일단은 깊게 읽고 흥미롭게 읽는 것을 재미있어하는 좋은 독자들이 많이 나오는 게 가장 좋을 것 같다”고 덧붙였다.
스웨덴 한림원은 지난 10월 10일 올해 노벨 문학상 수상자로 한강을 선정했다. 당시 한림원은 그의 작품 세계를 “역사적 트라우마에 맞서고 인간 삶의 연약함을 드러낸 강렬한 시적 산문”이라며 선정 사유를 밝혔다.
한강은 7일 스웨덴 한림원의 공식 유튜브로 생중계되는 1시간 분량의 강연을 통해 자신의 작품세계를 보다 깊이 있게 소개할 예정이다. 10일에는 노벨상 시상식 연단에 올라 노벨상 메달과 증서를 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