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9만명 12년 추적 관찰…“치매 발병률 4.4배 급증 속 70%가 여성 환자”
한국인이 치매에 걸리는 가장 큰 원인은 신체활동 부족이라는 사실이 국내 대규모 연구를 통해 확인됐다.
5일(한국시간) 신경과학 분야 국제학술지(Frontiers in Aging Neuroscience) 최신호에 따르면, 삼성서울병원 신경과 김희진 교수 연구팀은 국민보험공단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해 2006년 시점에 치매 병력이 없었던 79만4천448명을 대상으로 2017년까지 추적 관찰한 결과 이런 연관성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에서는 관찰 기간에 총 6.2%(4만9천524명)에서 치매가 발병한 것으로 집계됐다. 분석 대상 인구 1천명당 치매 발병률은 2006년 1.56명에서 2017년에는 6.94명으로 4.4배 급증했다. 성별로는 전체 치매 환자 중 여성이 69.8%(3만4천544명)를 차지했다. 또 5.0%(2천479명)가 65세 미만에 발병한 ‘조기 치매’였으며, 알츠하이머 치매는 전체의 66.5%를 차지했다.
연구팀은 한국인 치매 발병에 관여하는 여러 요인을 종합적으로 분석했을 때 신체활동 부족의 영향(8.1%)이 가장 큰 것으로 추산했다. 이어 당뇨병(4.2%), 고혈압(2.9%) 등의 순이었다. 알츠하이머 치매만 보면 역시 신체활동 부족이 8.2%로 가장 높았고 두 번째도 당뇨병(4.0%)이었다. 하지만 알츠하이머 치매에서는 세 번째 요인으로 고혈압이 아닌 우울증(2.4%)이 꼽혔다.
이런 연구 결과는 활발한 신체활동이 인지 장애를 약화하고 치매 위험을 감소시킨다는 국내외의 여러 연구를 뒷받침한다. 유산소 운동을 포함한 규칙적인 신체활동이 치매를 부르는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을 조절하고, 염증을 줄이며, 대뇌 혈류를 개선함으로써 인지 기능에 도움이 된다는 게 주요 메커니즘이다.
특히 여성의 경우 상대적으로 남성보다 신체 활동이 제한적인 데다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이 급격하게 감소하는 폐경기 호르몬 변화, 상대적으로 긴 기대수명 등이 높은 치매 발병률에 추가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연구팀은 분석했다.
치매는 현재 마땅한 치료법이 없기 때문에 예방에 초점을 맞추는 게 최선이다. 특히 치매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알츠하이머의 경우 증상의 진행 속도를 늦춰주는 치료 외에 증상의 진행을 멈추거나 증상을 호전시켜주는 치료법이 없어 병이 발생하기 전에 예방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교정이 불가능한 요인(노화, 성별, 치매 위험 유전자 보유 여부, 대기오염 등)보다 교정이 가능한 요인(신체활동, 고혈압, 당뇨병, 우울증 등) 위주로 개선하는 게 치매 예방을 위한 효과적인 전략이다.
논문의 제1저자인 인천세종병원 신경과 황보송 전문의는 “이 중에서도 1주일에 3회 이상, 1회에 30분 이상 꾸준히 유산소 운동을 하는 등 평소 신체 활동을 꾸준히 늘리는 방향으로 생활 습관을 바꿔야 한다”고 조언했다
황 전문의는 “꾸준한 유산소 운동은 기억력 저하를 예방하는데 매우 효과적인 방법”이라며 “노년기에는 근육 손실이 발생하기 쉽고 부족한 근육량은 필연적으로 신체활동의 저하로 이어지는 만큼 유산소 운동뿐만 아니라 팔다리 근육, 코어 근육을 단련하기 위한 근력운동도 병행하는 게 치매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5일(한국시간) 신경과학 분야 국제학술지(Frontiers in Aging Neuroscience) 최신호에 따르면, 삼성서울병원 신경과 김희진 교수 연구팀은 국민보험공단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해 2006년 시점에 치매 병력이 없었던 79만4천448명을 대상으로 2017년까지 추적 관찰한 결과 이런 연관성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에서는 관찰 기간에 총 6.2%(4만9천524명)에서 치매가 발병한 것으로 집계됐다. 분석 대상 인구 1천명당 치매 발병률은 2006년 1.56명에서 2017년에는 6.94명으로 4.4배 급증했다. 성별로는 전체 치매 환자 중 여성이 69.8%(3만4천544명)를 차지했다. 또 5.0%(2천479명)가 65세 미만에 발병한 ‘조기 치매’였으며, 알츠하이머 치매는 전체의 66.5%를 차지했다.
연구팀은 한국인 치매 발병에 관여하는 여러 요인을 종합적으로 분석했을 때 신체활동 부족의 영향(8.1%)이 가장 큰 것으로 추산했다. 이어 당뇨병(4.2%), 고혈압(2.9%) 등의 순이었다. 알츠하이머 치매만 보면 역시 신체활동 부족이 8.2%로 가장 높았고 두 번째도 당뇨병(4.0%)이었다. 하지만 알츠하이머 치매에서는 세 번째 요인으로 고혈압이 아닌 우울증(2.4%)이 꼽혔다.
이런 연구 결과는 활발한 신체활동이 인지 장애를 약화하고 치매 위험을 감소시킨다는 국내외의 여러 연구를 뒷받침한다. 유산소 운동을 포함한 규칙적인 신체활동이 치매를 부르는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을 조절하고, 염증을 줄이며, 대뇌 혈류를 개선함으로써 인지 기능에 도움이 된다는 게 주요 메커니즘이다.
특히 여성의 경우 상대적으로 남성보다 신체 활동이 제한적인 데다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이 급격하게 감소하는 폐경기 호르몬 변화, 상대적으로 긴 기대수명 등이 높은 치매 발병률에 추가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연구팀은 분석했다.
치매는 현재 마땅한 치료법이 없기 때문에 예방에 초점을 맞추는 게 최선이다. 특히 치매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알츠하이머의 경우 증상의 진행 속도를 늦춰주는 치료 외에 증상의 진행을 멈추거나 증상을 호전시켜주는 치료법이 없어 병이 발생하기 전에 예방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교정이 불가능한 요인(노화, 성별, 치매 위험 유전자 보유 여부, 대기오염 등)보다 교정이 가능한 요인(신체활동, 고혈압, 당뇨병, 우울증 등) 위주로 개선하는 게 치매 예방을 위한 효과적인 전략이다.
논문의 제1저자인 인천세종병원 신경과 황보송 전문의는 “이 중에서도 1주일에 3회 이상, 1회에 30분 이상 꾸준히 유산소 운동을 하는 등 평소 신체 활동을 꾸준히 늘리는 방향으로 생활 습관을 바꿔야 한다”고 조언했다
황 전문의는 “꾸준한 유산소 운동은 기억력 저하를 예방하는데 매우 효과적인 방법”이라며 “노년기에는 근육 손실이 발생하기 쉽고 부족한 근육량은 필연적으로 신체활동의 저하로 이어지는 만큼 유산소 운동뿐만 아니라 팔다리 근육, 코어 근육을 단련하기 위한 근력운동도 병행하는 게 치매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Bay News Lab / 저작권자 (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